일본군’위안부‘ 피해자들의 명예회복을 위한 실천의 역사 연표입니다
.
.
"위안부 합의 관련 협의 경과 및 합의 내용 전반에 대해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평가하기 위한 외교부 장관 직속 TF 출범"
"민간에서 진행되어 오던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기림의 날(8.14)’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었음."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추모비 천안 국립망향의 동산에 건립"
"한일 합의는 피해자 중심 접근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는 결론 발표"
(정의기억연대 홈페이지 http://womenandwar.net)
"‘위안부’ 문제에 관한 체계적인 조사와 연구를수행하고, 국민의 이해를 돕기 위한 교육과 홍보를 진행하기 위해 2018년 8월 한국여성인권진흥원에 개소하였음. ‘위안부’ 문제에 관한 연구자의 활동을 장려하고, 국민들의 관심을 모으고, 일반 대중의 이해를 높이고자 웹진 <결>을 발행하고 있음.(홈페이지 http://www.kyeol.kr)"
.
.
.
.
.
일본군'위안부' 문제 연구소가 '위안부' 문제의 연구 및 허브 기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안정적이고 체계적으로 운영하는 발판 마련
2021.1.23 1.8(금) 1심 원고 승소 판결에 대하여 일본 정부가 항소 가능 기간인 22일 자정까지 항소장을 제출하지 않아 판결 확정
알렉시스 더든, 챌시 샌디 쉬이더, 송연옥, 윤명숙, 박정애 등 일본군'위안부' 연구자들이 모여 세계적으로 만연한 역사부정론 발생 배경과 문제제기 및 나아갈 방향에 대한 국제적논의
"국가면제 원칙에 따라 일본정부에 강제집행을 하는 것은 국제법 위반이므로 각하
* 국가면제란 국내 법원이 외국 국가에 대한 소송에 관하여 재판할 수 없다는 관습국제법
(한국 정부가 일본 법원의 민·형사상 판결을 따라야 할 의무가 없듯이, 일본 정부에 대해서도 한국 사법부가 판단할 수 없다는 ‘국가면제’ 원칙을 따라야 하며 일본정부에 강제집행을 하는 것은 국제법 위반이므로 각하 판결) "
.
.
.